10년차 이상 직장인들을 위한 '__뉴스레터' 바로 신청하기 💌
모두의 마음이 한 뼘 더 건강한 사회,
오프먼트 offment가 함께 만들어 갑니다.
📁 2013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,
전신 <청춘상담소 좀놀아본언니들> 에서부터, 오늘날 <오프먼트>에 이르기까지,
늘 '공익적 가치의 확산'을 가장 중요한 의미로 생각하고 나아갑니다.
교육, 상담, 연구, 캠페인 등 마음건강 분야의 120여 개 공익프로젝트를
정부는 물론, 전국 42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해왔습니다.
모두의 마음이 한 뼘 더 건강해질 수 있도록, 오프먼트의 문은 늘 열려있습니다.
시민의 마음이 한 뼘 더 건강한 사회,
오프먼트 offment가 함께 만들어 갑니다.
📁 2013에서 오늘날까지
전신 <청춘상담소 좀놀아본언니들>에서
오늘날 <오프먼트 offment>에 이르기까지.
120여개 공익프로젝트를 정부, 지자체와
함께 하며 공익적 가치를 실천 해 왔습니다.
시민의 마음이 한 뼘 더 건강해질 수 있도록,
오프먼트의 문은 늘 열려있습니다.
📁 공익사업 포트폴리오
:: 연구 사업
:: 상담 프로그램
19살, 29살, 39살을 위한 생애주기 맞춤형 상담
서울시 청년허브 <아홉수 파티>19살, 29살, 39살을 위한 생애주기 맞춤형 상담
채식과 대화카드를 활용한 몸&마음 돌봄 상담
성남시 <비건다이닝>채식과 대화카드를 활용한 몸&마음 돌봄 상담
템플스테이와 명상을 결합한 숙박형 상담
여성가족부 <템플 테라피>템플스테이와 명상을 결합한 숙박형 상담
전통문화와 결합한 숙박형 집단상담
서울시 청년허브 <한옥테라피>전통문화와 결합한 숙박형 집단상담
캘리그라피를 활용한 예술 치유 상담
문화재청 <캘리 테라피>캘리그라피를 활용한 예술 치유 상담
청년수당 참여자 상담 프로그램 운영
서울시 <청년수당 집단상담>청년수당 참여자 상담 프로그램 운영
2030 청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
수원청년센터 <수원 큐어>2030 청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
코로나 19 시민 마음 치유를 위한 예술 치료 상담
서대문구 <마음목욕탕>코로나 19 시민 마음 치유를 위한 예술 치료 상담
청년통장 참여자를 위한 온라인 집단 상담
서울시복지재단 <고무줄 토크>청년통장 참여자를 위한 온라인 집단 상담
경기도 청년 마음건강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경기도 <경기청년마음상담소>경기도 청년 마음건강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경상남도 공식 청년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경상남도 <마음, 봄> 경상남도 공식 청년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제주 청년센터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제주청년센터 <고민, 툭>제주 청년센터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:: 교육사업
경기도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글쓰기 테라피 워크숍
삼성디딤돌센터 <마음 자립 워크숍>경기도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글쓰기 테라피 워크숍
경력단절, 육아휴직자를 위한 번아웃 예방 시민 교육
서울시여성가족재단 <마음잡고 프로젝트>경력단절, 육아휴직자를 위한 번아웃 예방 시민 교육
신중년 일자리 이음사업 참여자를 위한 역량개발교육 기획, 운영
경기도일자리재단 <이음아카데미>신중년 일자리 이음사업 참여자를 위한 역량개발교육 기획, 운영
광주광역시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글쓰기 테라피 워크숍
광주청년센터 <라이팅 테라피>광주광역시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글쓰기 테라피 워크숍
성남시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성남시 <마음지기> 성남시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2030 청년 시민을 위한 자기 이해 글쓰기 테라피 영상 교육
부천시 <내마음 들여다보기>2030 청년 시민을 위한 자기 이해 글쓰기 테라피 영상 교육
코로나 19 자가격리자를 위한 마인드 셀프케어 워크북 제작 및 영상 교육
관악구 <라이팅 테라피>코로나 19 자가격리자를 위한 마인드 셀프케어 워크북 제작 및 영상 교육
경상남도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경남 <청년 쾌유> 경상남도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오산시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오산시 <청년또래상담사>오산시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:: 인식개선 캠페인
서울시민을 위한 제 1회 마음건강 랜선 박람회 기획, 운영
서울시 <마음건강 박람회>서울시민을 위한 제 1회 마음건강 랜선 박람회 기획, 운영
사회적 고립 인식개선을 위한 청년재단, 지드래곤 공익재단(저스피스재단), 오프먼트 콜라보 도서 <리커넥트> 출간
청년재단 X 지디재단 <리커넥트>사회적 고립 인식개선을 위한 청년재단, 지드래곤 공익재단(저스피스재단), 오프먼트 콜라보 도서 <리커넥트> 출간
비교와 뒤처짐의 감정에서 벗어나는 청년 인식개선 플래시몹 공동 진행
EBS <뒤로 걸어봐!>비교와 뒤처짐의 감정에서 벗어나는 청년 인식개선 플래시몹 공동 진행
마음건강 공공서비스 소개 유튜브 기획, 운영
서울시 <마음건강대백과>마음건강 공공서비스 소개 유튜브 기획, 운영
시민 인식개선을 위한 거리 고민상담 아트 버스킹
서대문구 <고민 버스킹>시민 인식개선을 위한 거리 고민상담 아트 버스킹
청년 마음건강 포럼 토론회 기획, 운영
서울시 <마음건강 포럼>청년 마음건강 포럼 토론회 기획, 운영
자신만의 길을 찾아가는 창직 청년 인터뷰 사례집 출간
해피빈 <언친소 프로젝트>자신만의 길을 찾아가는 창직 청년 인터뷰 사례집 출간
청년 마음건강 통계 발행을 통한 마음건강 실태 공유
청년허브 <마음통계> 청년 마음건강 통계 발행을 통한 마음건강 실태 공유
📁 공익활동 포트폴리오
:: 연구 사업
- 서울시 청년허브 <2030 서울 청년 조기퇴사 실태연구> (2017)
- 서울시 청년청 <서울 청년 마음건강을 위한 정책전달체계 연구> (2018)
- 부산광역시 <부산 청년 마음건강 실태연구> (2019)
- 경기복지재단 <경기청년 마음건강 실태연구> (2020~2024) 등
:: 상담 프로그램
19살, 29살, 39살을 위한 생애주기 맞춤형 상담
서울시 청년허브 <아홉수 파티>19살, 29살, 39살을 위한 생애주기 맞춤형 상담
채식과 대화카드를 활용한 몸&마음 돌봄 상담
성남시 <비건다이닝>채식과 대화카드를 활용한 몸&마음 돌봄 상담
템플스테이와 명상을 결합한 숙박형 상담
여성가족부 <템플 테라피>템플스테이와 명상을 결합한 숙박형 상담
전통문화와 결합한 숙박형 집단상담
서울시 청년허브 <한옥테라피>전통문화와 결합한 숙박형 집단상담
캘리그라피를 활용한 예술 치유 상담
문화재청 <캘리 테라피>캘리그라피를 활용한 예술 치유 상담
청년수당 참여자 상담 프로그램 운영
서울시 <청년수당 집단상담>청년수당 참여자 상담 프로그램 운영
2030 청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
수원청년센터 <수원 큐어>2030 청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
코로나 19 시민 마음 치유를 위한 예술 치료 상담
서대문구 <마음목욕탕>코로나 19 시민 마음 치유를 위한 예술 치료 상담
청년통장 참여자를 위한 온라인 집단 상담
서울시복지재단 <고무줄 토크>청년통장 참여자를 위한 온라인 집단 상담
경기도 청년 마음건강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경기도 <경기청년마음상담소>경기도 청년 마음건강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경상남도 공식 청년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경상남도 <마음, 봄> 경상남도 공식 청년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제주 청년센터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제주청년센터 <고민, 툭>제주 청년센터 온라인 상담소 위탁운영
:: 교육 사업
경기도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자기이해 워크숍
삼성디딤돌센터 <마음 자립 워크숍>경기도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자기이해 워크숍
광주광역시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글쓰기 테라피 워크숍
광주청년센터 <라이팅 테라피>광주광역시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글쓰기 테라피 워크숍
신중년 이음사업 참여자를 위한 온라인 교양 교육 기획
경기도일자리재단 <이음아카데미>신중년 이음사업 참여자를 위한 온라인 교양 교육 기획
2030 청년 시민을 위한 자기 이해 글쓰기 테라피 영상 교육
부천시 <내 마음 들여다보기>2030 청년 시민을 위한 자기 이해 글쓰기 테라피 영상 교육
경력단절, 육아휴직자를 위한 번아웃 예방 시민 교육
서울시여성가족재단 <마음잡고 프로젝트>경력단절, 육아휴직자를 위한 번아웃 예방 시민 교육
경상남도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경남 청년 쾌유 상담사 양성 교육경상남도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성남시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성남시 <마음지기> 양성교육성남시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성남시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오산시 <청년또래상담사> 양성교육성남시 공식 청년 또래상담사 양성 교육
:: 인식개선 캠페인
서울시민을 위한 제 1회 마음건강 랜선 박람회 기획, 운영
서울시 <서울시 마음건강 박람회>서울시민을 위한 제 1회 마음건강 랜선 박람회 기획, 운영
청년 마음건강 포럼 토론회 기획, 운영
서울시 <청년 마음건강 포럼>청년 마음건강 포럼 토론회 기획, 운영
사회적 고립 인식개선을 위한 청년재단, 지드래곤 공익재단(저스피스재단), 오프먼트 콜라보 도서 <리커넥트> 출간
청년재단 X 저스피스재단 <리커넥트>사회적 고립 인식개선을 위한 청년재단, 지드래곤 공익재단(저스피스재단), 오프먼트 콜라보 도서 <리커넥트> 출간
비교와 뒤처짐의 감정에서 벗어나는 청년 인식개선 플래시몹 공동 진행
EBS <뒤로 걸어봐!>플래시몹비교와 뒤처짐의 감정에서 벗어나는 청년 인식개선 플래시몹 공동 진행
마음건강 공공서비스 소개 유튜브 기획, 운영
서울시 청년청 <마음건강대백과>마음건강 공공서비스 소개 유튜브 기획, 운영
청년 마음건강 통계 발행을 통한 마음건강 실태 공유
서울시 청년허브 <마음통계> 발행청년 마음건강 통계 발행을 통한 마음건강 실태 공유
자신만의 길을 찾아가는 창직 청년 인터뷰 사례집 출간
네이버 해피빈 <언친소 프로젝트>자신만의 길을 찾아가는 창직 청년 인터뷰 사례집 출간
시민 인식개선을 위한 거리 고민상담 아트 버스킹
서대문구 <고민 버스킹>시민 인식개선을 위한 거리 고민상담 아트 버스킹
비혼 비출산 세대 격차 극복 라운드 토크
여성가족부 <라운드 토크>비혼 비출산 세대 격차 극복 라운드 토크
지역 활성화와 청년 진로 재탐색을 위한 괜찮아 마을 프로젝트 및 다큐멘터리 협업
행정안전부 <괜찮아 마을>지역 활성화와 청년 진로 재탐색을 위한 괜찮아 마을 프로젝트 및 다큐멘터리 협업
offment 오프먼트 | 대표자 : 장재열
주소 |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중로 110
사업자 등록 번호 | 247-93-01691
통신판매업 신고 번호 | 2024 - 수원권선 - 1087
이메일 | dangnaguigui@offment.co.kr
offment
고객지원
offment 오프먼트 | 대표자 : 장재열
주소 |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중로 110
사업자 등록번호 | 247-93-01691
통신판매업 신고번호 | 2024 - 수원권선 -1087
이메일 | dangnaguigui@offment.co.kr